
세도 정치는 왕권의 약화와 외척 가문의 권력 독점으로 조선의 정치·사회 전반에 구조적 부패를 야기한 체제였다. 이는 조선 후기 정치의 붕괴와 민생 파탄을 초래하며, 결국 외세 침입과 근대 개혁 실패로 이어지는 역사적 원인이 되었다. 1. 정조 이후 왕권의 약화와 외척 세력의 부상조선 후기, 정조의 개혁 정치가 막을 내리고 그의 아들 순조가 즉위하면서 조선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게 되었다. 정조가 사망한 1800년, 순조는 아직 어린 나이였기에 국정은 자연스럽게 외척 세력에게 넘어갔고, 이를 계기로 ‘세도 정치’가 시작되었다. 세도 정치는 국왕의 혈연에 속한 외척 가문이 실질적인 정치 권력을 장악하며 정국을 좌지우지하던 체제를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안동 김씨, 풍양 조씨 등의 세도가문이 수십 년간 정권을 ..

정약용은 조선 후기 실학의 중심 인물로, 학문을 통해 사회 제도를 개혁하고자 한 사상가이자 실천가였다. 그의 실학은 단지 이론에 머무르지 않고 정치, 경제, 법률, 과학 등 다방면에 영향을 주었으며, 조선 후기 개혁 사상의 정점으로 평가된다. 1. 조선 후기 사회의 모순과 실학의 필요성조선 후기 사회는 여러 측면에서 심각한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었다. 겉으로는 유교적 명분 정치가 유지되고 있었지만, 내부적으로는 붕당 정치의 폐해, 양반 중심의 신분 구조, 농민 착취, 부패한 행정 등으로 인해 사회는 점점 피폐해져 갔다. 성리학은 여전히 국가의 이념이었지만, 그 해석과 실천은 경직되고 현실과 괴리되었으며, 민생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한계에 봉착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등장한 것이 바로 ‘실학’이다..
정조는 조선 후기 정치의 황금기를 이끈 군주로 평가된다. 그는 탕평책을 계승하면서도 실질적 개혁을 추진했고, 규장각을 중심으로 한 실학적 인재 양성은 조선 정치와 문화의 전환을 이끌었다. 그의 정치는 조선 후기 개혁 정치의 전범이 되었다. 1. 영조의 유산과 정조의 즉위, 새로운 정치의 서막조선 제22대 국왕 정조(正祖, 1752~1800)는 조선 후기 개혁 정치의 상징적 인물이다. 그는 영조의 둘째 아들이자 사도세자의 아들로, 왕실의 비극적 역사와 붕당 정치의 파란 속에서 성장하였다. 특히 아버지 사도세자의 비극적 죽음은 정조에게 깊은 영향을 주었고, 이후 그의 정치적 이상과 왕권 강화 전략의 중요한 기저가 되었다. 정조는 조선의 정치, 경제, 문화에 이르기까지 실질적인 개혁을 추진하며, 왕권 중심의 ..

영조는 조선 정치사에서 가장 오랜 기간 재위한 군주로, 붕당의 폐해를 극복하고 국정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탕평책을 시행하였다. 그의 정치 개혁은 조선 후기의 제도 정비와 왕권 중심 통치 체제 확립의 기틀이 되었으며, 실용적 개혁 군주의 상징으로 남았다. 1. 붕당 정국 속에 즉위한 영조의 정치적 과제조선 제21대 국왕 영조(英祖, 1694~1776)는 경종의 이복동생이자 숙종의 아들로, 경종의 단명 이후 신임사화의 상처 속에서 조정의 극심한 정치적 분열 상태에서 즉위하였다. 1724년 즉위한 그는 무려 52년간 재위하며 조선 역사상 가장 긴 재위 기간을 기록하였고, 이 기간 동안 국정 전반에 걸쳐 대대적인 개혁과 안정화를 추진하였다. 그러나 그의 통치는 단순한 개혁의 연속이 아니라, 끊임없는 붕당 갈등 ..

경종과 연잉군 사이의 왕위 계승 문제는 조선 후기 정치사의 결정적 분수령이자 붕당 간의 극단적인 대립이 초래한 국가적 위기의 전조였다. 이는 왕실 내부의 정통성 문제를 넘어, 조선 정치의 구조적 문제와 붕당 정치의 심각성을 여실히 드러낸 사건이었다. 1. 숙종의 아들들, 경종과 연잉군 사이의 팽팽한 긴장조선 후기에 접어들며 정치의 중심축은 점점 붕당 간의 대립으로 옮겨갔다. 숙종 대에 이루어진 환국 정치는 국왕이 직접 정국을 주도하는 전례 없는 방식으로, 붕당 사이의 균형을 왕권으로 조절하고자 한 시도였다. 그러나 그러한 방식은 일시적 통제는 가능케 했지만, 근본적으로 붕당 사이의 갈등을 해소하지는 못했다. 오히려 환국을 거듭하면서 붕당 간의 불신과 반목은 더욱 심화되었고, 국왕의 총애에 따라 생존이 좌..

숙종은 조선 정치사에서 전무후무한 환국 정치를 통해 붕당을 번갈아 제거하고 재등용하며 왕권 강화를 꾀하였다. 그의 정치 방식은 단기적으로 왕권을 강화하는 데 성공했지만, 장기적으로는 붕당 간의 갈등을 더욱 고착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1. 붕당 정치의 격화 속에 등장한 숙종의 통치조선 중후기, 예송 논쟁을 거치며 붕당 정치는 그 형태가 점차 정착되었고, 정파 간의 갈등은 단순한 사상 차이를 넘어 실질적인 권력 투쟁으로 이어졌다. 이런 붕당 정치의 한복판에서 숙종(肅宗, 재위 1674–1720)은 19세의 나이로 즉위하였다. 그의 즉위는 조선 정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하였으며, 숙종은 이후 전례 없는 방식의 정국 운영인 '환국(換局)' 정치를 본격적으로 펼치게 된다. 숙종이 즉위한 당시 조정..